본문 바로가기
프로젝트/naver cloud 사용해보기

naver cloud 사용해보기_2

by dudung__ 2023. 8. 31.

03.windows 서버 생성하기 

 

1.서버 생성

=> 리눅스 서버를 만들때랑 동일하게 설정하고 넘어오면 됨 

 

++ 주의할점

처음에 서버를 만드려고 할때, 생성제한에 걸려서 문의를 남긴결과 => 

==> 고성능의 비용을 사용하려면, 선불로 결제 금액을 지불하고 해야한다는것이였다. 그래서 standard 타입으로 지정해주고 서버를 생성함

 

 

보안을 강화해주기 위해서 

=> 원격접속시에 관리자의 비밀번호 확인 / RDS 내 IP에서만 접속할 수 있도록 => ACG를 수정

 

2.보안 강화

- 내 IP만 접근할 수 있게 허용

=> 학원 IP와 mariadb 포트를 ACG의 인바운드 규칙에 넣어줌

 

 

 

 

- 원격접속시 관리자의 비밀번호 확인

 

=> 발급 받았던 pem키를 넣고 확인을 눌러주면

 

=> 최초설정되는 비밀번호가 나옴 =>  추후에 변경해주면 됨

 

 

=> 실습 후에, 사용하지 않을때는 항상 잊지말고 반납(공인 ip 포함) 

=> 계속해서 이 서버를 사용해서 실습을 진행할것이라면 상관이 없지만, 그렇지 않는다면 정지 -> 반납

=> 정지만 해놓고 반납을 하지 않아도 비용이 발생함

 

 

 

04.DB만들기

 

 

1. DB 생성

 

=> 기본 설정으로해서 생성해봄

==> host(ip)를 줄때  % => 이렇게 주면 모든 ip에 대한 접근을 허용한다는 뜻임

 

 

 

=> DB로그 저장을 위해서 CLA cloud log analytics 신청

 

 

 

2.slave(고가용성을 위한 standby DB) 추가

=> 물론 이건, 

생성시 고가용성지원을 체크하지 않으면 => 회색으로 비활성화 되어있음(경험담..)

 

 

고가용성을 체크하고 만든다면 => 이렇게 2개의 DB가 생성됨

 

 

DB 관리 콘솔창에서 할 수 있음

많은 작업이 가능한데, 그중에 몇개를 해볼 것임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*유저관리

 

*슬레이브 추가

 

*failover

 

=> Failover란 평소 사용하는 서버와 그 서버의 클론 서버를 가지고 있다가 사용 서버가 장애로 사용이 어렵게 될 경우, 클론 서버로 그 일을 대신 처리하게 해서 무정지 시스템을 구축해 주는 것을 의미한다.

 

=> 우리가  DB나 서버의 고가용성을 위해서 이중화를 하는 이유 => 정지시에 너무 많은 피해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

(금전적, 이미지, 신뢰 등등)

 

 

=> 위에와 비교했을때 5번 master => standby master / 6번 standby master  =>  master가 된것을 볼 수 있음

 

3.DB삭제

 

=> DB를 삭제하려 하는경우에는, 반드시 보조 DB들부터 삭제하고 master 삭제를 해야함

=> 서비스에서 순서를 정해놓음 그럴수 밖에 없음

 

 

'프로젝트 > naver cloud 사용해보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naver cloud 사용해보기_6  (0) 2023.09.05
naver cloud 사용해보기_5  (0) 2023.09.04
naver cloud 사용해보기_4  (0) 2023.09.02
naver cloud 사용해보기_3  (0) 2023.09.01
naver cloud 사용해보기_1  (0) 2023.08.30