도커 & 쿠버/도커 사용해보기4 도커 기본 다지기 4 github로 docker image 공유하기 1 - push 어제 해본 commit과 build를 통한 이미지 만들기 후에, 이미지를 어떻게 공유할것인가에 대한 내용이다 => 타인 / 다른 공간에서 내가 사용하기 위해서 공유해야함(registry에 업로드) ==> push명령어 => docker hub 홈페이지로 가서 => repositories => 내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소의 화면이 나옴 => create repository => 내 이미지를 만들 수 있음 여기서 python3가 설치되어있는 이미지를 만들어볼 것임 밑에 이야기하긴 할 것이지만, private repository를 하나밖에 사용하지 못함 일단 만들어보면 => 어떤식으로 push 명령어를 사용해야하는지도 기술해줌 ==> 이제 .. 2023. 9. 14. 도커 기본 다지기 3 이번에도 마찬가지로 '생활코딩'채널의 영상을 참고하여 진행했음 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RMNOQXs-f68 - 도커 이미지 만들어보기 이번 실습의 전체적인 목적에 대한 맵 => 내가 컨테이너에 설정한 것들을 이미지로 만들어서 => 재사용성을 높일 수 있게 하는 것 ==> 주로 기본적으로 설정해줘야하는 기반 설정들을 이런 방식으로 사용하면 편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음 ==> 내가 사용할때 뿐아니라, 같이 작업을 해야하는 상황이 온다면, 내가 해놓은 작업을 그대로 이미지로 만들어서 공유할 수 도 있기 때문에 여러모로 알고 있어야 할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음 => 우분투 이미지를 받아서 -> git을 설치하고 => 그 컨테이너를 다시 이미지화해서 => 각 개.. 2023. 9. 13. 도커 기본 다지기 2 기본적인 네트워크 개념이 필요함 ex) 아파치 웹 서버 서버, 클라이언트, 포트 등등의 개념이 필요함 => 다행히도 네트워크 공부를 했고, 현재 국비 교육중에도 계속해서 사용하는 개념들이기 때문에(리눅스, 윈도우 서버) 큰 문제 없이 바로 해볼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음 - 도커가 웹서버를 사용하는 방식 => 우리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방식 => 도커를 이용해서 사용하는 방식 도커 컨테이너의 port - host의 port가 따로 있기 때문에, 연결을 시켜줘야하고(포트포워딩) => 이 과정이 지나가면 성공적으로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음 - httpd 이미지 다운로드 실행 => 8080:80 => host의 8080 포트를 통해서 -> container의 80번 포트로 접근하겠다고 지정해줌 => CLI =.. 2023. 9. 12. 도커 기본 다지기 1 좋다 좋다 많이 들어봤지만, 실제로 어떻게 돌아가는지는 정처기를 공부할때 어렴풋이 공부한 정도가 다라서... 관련된 공부를 해보려함(인프런, 유튜브 - 생활코딩, 책 등등) => 접근성이 좋은 유튜브 강의(제일 유명하신걸로 알고 있는 '생활코딩' 채널로 일단 기초내용을 다져보고, 책으로 넘어가려함 #출처 : 생활코딩 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Ps8HDIAyPD0&list=PLuHgQVnccGMDeMJsGq2O-55Ymtx0IdKWf => 우리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가상화(전/반 가상화) => 운영체제를 각자 깔아야함 => 운영체제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무겁고 느려짐 => 앱을 실행하는데 필요한 라이브러리, 실행파일정도만 가지고 있고 => host의 OS를 빌려와서 사용함.. 2023. 9. 11. 이전 1 다음