프로젝트/스프링 부트와 AWS로 혼자 구현하는 웹 서비스_실습17 스프링부트와 AWS로 혼자 구현하는 웹 서비스 17_AWS 08_3 외부 security 파일 등록하기 ClientRegistrationRepository 생성위해서는 clientId 와 clientSecret이 필수임 => 로컬 pc에서 실행할때는 application-oauth.yml이 있어서 상관없었지만, 이 파일은 gitigonre에 제외대상으로 넣어놔서 깃에 올라가지 않음 공개된 저장소에 올릴수는 없으니 서버에서 직접 이 설정을 가지고 있게 해야함' 일단 app 디렉터리에 yml 파일을 생성 sudo vim app/application-oauth.yml => 책에서는 .properties 파일이겠지만, 나는 .yml 파일임 properties vs yml => 이런식으로 쓰는 방식에 있어서 차이가 있음 하지만, 기본적인 구조는 비슷하기 때문에 편한 것을.. 2023. 8. 28. 스프링부트와 AWS로 혼자 구현하는 웹 서비스 16_AWS 08.ec2 서버에 프로젝트를 배포 08_01 ec2에 프로젝트 clone 받기 => 깃에서 클론을 받아오기 때문에, 블로그 초반에 하지 않았던 깃 공유를 해서 깃에 프로젝트를 올렸음 푸티로 접속해서 작업을 진행함 - git 다운 $ sudo yum -y install git - git 버전 확인 $ git --version - git clone으로 프로젝트를 저장할 디렉터리 생성 $ mkdir ~/app && mkdir ~/app/step1 $ ls -R ~/app => 디렉터리들이 잘 만들어 진것을 확인할 수 있음 ~ 는 사용자 홈디렉터리를 의미함 cd ~ => 해당 사용자의 홈디렉터리로 이동 - git 클론을 진행 $ cd app/step1/ $ pwd => 만든 디렉터리로 이동해서 git에서url.. 2023. 8. 26. 스프링부트와 AWS로 혼자 구현하는 웹 서비스 15_AWS 07_3 내 pc에서 RDS에 접속해보기 ec2의 보안 그룹 ID 복사 -> 인바운드 트래픽 -> 붙여넣기 + 내 계정의 IP 붙여넣기 ●인텔리제이에 DB 플러그인 설치 RDS 정보 페이지 -> 앤드포인트 확인 -> 복붙 springboot-webservice.cpmu4exyjmic.ap-northeast-2.rds.amazonaws.com 인텔리 제이에서 => 플러그인 => database navigator => 설치 => 재시작 연결 테스트 이제 콘솔창을 열어볼 것임 => 이름이 기억나지 않더라도, 스키마창을 보면 DB의 이름이 나와있음 => 잘 받아왔다고 생각했는데, show 명령어가 아예 먹지 않았음 => 그래서 검색을 해봤는데 database navigator가 잘 작동하지 않을 수 있으니, 내.. 2023. 8. 25. 스프링부트와 AWS로 혼자 구현하는 웹 서비스 14_AWS 07_01 RDS 인스턴스 생성하기 AWS RDS 인스턴스 생성 책에서와 같이 mariadb로 생성할 것임 저자가 설명하는 이유 1. 다른 데이터 베이스들에 비해서 저렴한 가격 2. AuroraDB 로써의 교체 용이성 => AWS SAP 공부할때 거의 제일 많이 봤던 DB종류 => 굉장이 유연하고 가용성도 좋은데 ==> 그래서 그런가 가격이 장난아님 각설하고 생성작업에 들어가봄 => => mariadb를 고르고 => 프리 티어를 고름 => 사용자 이름과 암호를 작성 => 용량과 / autoscaling의 여부를 체크 *autoscaling 용량의 최소/최대 크기와 기본 크기를 지정하고 수요에 따라서 자동으로 늘리고 / 줄이는 작업을 함 ==> 그렇게 용량을 많이 사용하진 않겠지만, 혹시 모르니까 auto.. 2023. 8. 24. 이전 1 2 3 4 5 다음