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프로젝트/naver cloud 사용해보기

naver cloud 사용해보기_8

by dudung__ 2023. 9. 7.

16.privae LB로 DB 부하분산

1.mysql DB

=> mater 1 | slave 2 (mysql DB는 비싸니까 빠르게 진행해야함)

-> 로드 밸런서 종류 => 애플리케이션 / 네트워크 / 네트워크 프록시 로드밸런서

-> 중에서 네트워크 프록시 로드밸런서를 사용해서 진행

 

 

마스터를 생성하고 => slave를 만들었음

 

 

 

 

2.타켓 그룹 생성

++ 프록시 로드밸런서를 생성하기 위해서 프로토콜 유형을 잘 골라줘야함

 

=> 만들어놓은 slave 2개를 타켓으로 지정

=> 생성

=> 항상 기억 - 타켓 그룹이 없으면 로드밸런서를 생성할 수 없음

 

 

 

 

3. 네트워크 프록시 로드밸런서 생성

=> 3306(mysql, mariadb 포트)를 리스너 설정을 해줌

 

 

=> 생성

 

=> 성공적으로 생성된것을 볼 수 있음

 

 

 

17.인증서를  로드밸런서에 적용하기

 

1.인증서 사용을 위한 로드밸런서 생성

 

- 타켓그룹 생성

 

 

=> 타겟 그룹 생성

 

 

 

- 로드 밸런서 생성 => 애플리케이션 로드밸런서를 사용할것임  -> 고정 ip를 제공 => DNS에 ip로 등록이 가능하기 때문

=> DNS ip로 잡아줄 것이기 때문에 당연히 공인(public)으로 잡아줘야함

 

=> 만들어뒀던 타켓 그룹을 넣고, 로드 밸런서를 만들어줬음

 

 

 

2.DNS에 LB의 ip를 등록

도메인이 없기 때문에 간단하게 도메인을 만들어주고, LB 의 ip를 추가해줄 것임

 

=> 레코드 추가

 => 추가해주고,

 

 

 

=> 설정 적용을 눌러야 제대로 배포가 됨

 

 

 

3.인증서 발급 cert manager

기본적으로 무료료 제공되는 서비스임

 

==> 외부 인증서를 발급 받아서 사용해야하는데 이부분에 대해서는 좀 미흡한 부분이 있어서 추후에 이어할것임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'프로젝트 > naver cloud 사용해보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타 리전 vpc peering  (2) 2023.11.28
naver cloud 사용해보기_7  (0) 2023.09.06
naver cloud 사용해보기_6  (0) 2023.09.05
naver cloud 사용해보기_5  (0) 2023.09.04
naver cloud 사용해보기_4  (0) 2023.09.02