06_4 aws 리눅스 서버 생성시 꼭 해야하는 설정
책에 나와있는대로 기본 설정을 쭉쭉 진행함
● java 17설치
● 타임존 변경 : 기본 서버의 시간은 미국 시간대 -> 한국의 시간대로 변경해야함
● 호스트 네임 변경 : 현재 접속한 서버의 별명을 등록
=> 각각 ip로는 어떤 역할의 pc인지 확인하기 어렵기 때문에 구분할 수 있게 해줘야함
● java 17설치
책은 java 8(jdk 1.8) 버전을 사용했지만, 내가 가지고 있는 프로젝트는 jdk 17을 사용했기 때문에 17을 설치해줬음
rpm -qa | grep java
=> java를 포함하고 있는 패키지들을 표시
sudo /usr/sbin/alternatives --config java
java --version
==> 버전을 바꾸고, 바뀐 버전을 확인함
● 타임존 변경
=> 설정 적용하기 전
=> 현재시간
=> 현재 시간대와 맞게 잘 들어온것을 볼 수 있음
명령어를 보면, /etc/localtime 이라는 경로가 서버 시간을 결정하는 경로인것 처럼 보이고
서버에 저장되어있는 ~ /Seoul 디렉터리와 /etc/localtime에 링크를 만들어줘서(일종의 동기화)
서버 시간을 서울의 시간으로 적용한것으로 보인다
ls -dl : 대상 디렉터리, 파일의 권한, 소유권, 경로를 볼 수 있음
● hostname
sudo vi /etc/sysconfig/network
HOSTNAME=springboot-webservice
==> 로 진행을 해줬지만, 음 바뀌지 않네,,,, 당장 중요한건 아니니까 일단 다음
sudo vi /etc/hosts
일단 hosts 파일에 hostname 을 등록해줌
후에 확인을 해봄
curl 등록한 호스트 이름 => 확인
80 번 포트로 실행된 서비스가 아직 없기 때문에, 80번 포트로 서버에 접근할수 없다는 오류가 남
=> 등록이 잘 된것임
=> 등록이 제대로 되지 않았다면 이런 오류가 난다고 함
'프로젝트 > 스프링 부트와 AWS로 혼자 구현하는 웹 서비스_실습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스프링부트와 AWS로 혼자 구현하는 웹 서비스 15_AWS (0) | 2023.08.25 |
---|---|
스프링부트와 AWS로 혼자 구현하는 웹 서비스 14_AWS (0) | 2023.08.24 |
스프링부트와 AWS로 혼자 구현하는 웹 서비스 12_AWS (0) | 2023.08.22 |
스프링부트와 AWS로 혼자 구현하는 웹 서비스 11 (0) | 2023.08.19 |
스프링 부트와 AWS로 혼자 구현하는 웹 서비스 10 (0) | 2023.08.17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