프로젝트/naver cloud 사용해보기9 naver cloud 사용해보기_5 10.CLI로 NAS만들기 1.NAS 볼륨 생성 ./ncloud vnas createNasVolumeInstance --regionCode KR --zoneCode KR-1 --volumeName Nasnas --volumeAllotmentProtocolTypeCode NFS --volumeSize 500 --isReturnProtection false => 저번에 오류 계속 뜨면서 이거저거 찾아보다 보니까 이제 뭐가 뭘 말하는지 눈에 들어오긴하는듯함 => => nas 볼륨이 설정한대로 잘 생성된것을 볼 수 있음 2.NAS 볼륨 조회해보기 ./ncloud vnas getNasVolumeInstanceList --regionCode KR --zoneCode KR-1 --volumeAllotmentProto.. 2023. 9. 4. naver cloud 사용해보기_4 07.운영중인 서버로 서버 이미지 생성 해당 이미지로 서버를 추가적으로 생성이 가능 => 현재 서버와 동일한 설정의 서버를 더 만들고 싶을때 or 백업용 1.서버 이미지 생성 => 서버 관리 및 설정 변경 => 내 서버 이미지 생성 ==> server -> server image 2.해당 이미지로 새로운 서버 생성 => 서버 생성 => 내가 가지고 있는 이미지로 서버가 성성되는것을 볼 수 있음 08.서버 스토리지 암호화 1.스토리지가 암호화된 서버 생성 => 서버를 생성할때 '스토리지 암호화'를 적용하여 서버를 생성 => 최종 확인 페이지 server => storage 2.스토리지 추가 => 암호화가 적용된것을 볼 수 있고, 추가 스토리지도 붙여볼 것임 ==> 암호화된 스토리지는 안정성을 위해서 서버가.. 2023. 9. 2. naver cloud 사용해보기_3 05.리눅스 원격 root 로그인 막기 1.일단 저번에 지웠던 리눅스 서버부터 다시 만들기 => 리눅스 마이크로 서버는 비용이 지불되지 않음으로 굳이 지울 필요는 없을듯 함 => 일단 빨리 만들어봄 2.설정 바꾸기(간단함) => 만든후에, 자주쓰던 putty를 통해서 접속함 => 원격에서 root의 접근을 막는것은 수업에서도 자주 했던 것이기 때문에 별 문제 없이 진행함 vi /etc/ssh/sshd_config => 관리자 접속을 막는것은 물론, 포트번호도 변경할 수 있음 set nu => 줄 번호를 볼수 있음 set noun => 줄 번호 없앰 => PerminRootLogin => no systemctl restart sshd => 데몬 재실행 => 접속용 계정을 하나 만들고 루트의 비밀번호도 초기.. 2023. 9. 1. naver cloud 사용해보기_2 03.windows 서버 생성하기 1.서버 생성 => 리눅스 서버를 만들때랑 동일하게 설정하고 넘어오면 됨 ++ 주의할점 처음에 서버를 만드려고 할때, 생성제한에 걸려서 문의를 남긴결과 => ==> 고성능의 비용을 사용하려면, 선불로 결제 금액을 지불하고 해야한다는것이였다. 그래서 standard 타입으로 지정해주고 서버를 생성함 보안을 강화해주기 위해서 => 원격접속시에 관리자의 비밀번호 확인 / RDS 내 IP에서만 접속할 수 있도록 => ACG를 수정 2.보안 강화 - 내 IP만 접근할 수 있게 허용 => 학원 IP와 mariadb 포트를 ACG의 인바운드 규칙에 넣어줌 - 원격접속시 관리자의 비밀번호 확인 => 발급 받았던 pem키를 넣고 확인을 눌러주면 => 최초설정되는 비밀번호가 나옴 => 추.. 2023. 8. 31. 이전 1 2 3 다음